국민재난안전포털의 메뉴 중 "재난예방 대비" 메뉴의 하위 메뉴인 국민행동요령의 생활안전행동요령 중에 심폐소생술에 대한 내용이 있어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일상생활을 하면서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니 알아 두면 평생 써먹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심폐소생술
심정지가 발생했을 때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4~5분 내에 뇌손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심장 정지 초기 5분의 대응이 운명을 좌우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심정지인 사람을 봤을 때 최초 발견자에 의해서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 다시 살아나실 확률이 3배 이상 증가한다고 합니다.
심폐소생술의 순서
- 환자의 반응을 확인 : 국민재난안전포털에서는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여보세요, 괜찮으세요?"를 외치면서 환자의 반응을 확인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 119 신고 : 화자의 의식(반은)이 없으면 구체적으로 사람을 지목하여 119 신고를 요청하고, 자동심장충 결기를 가져오도록 부탁합니다.
- 호흡확인 : 환자의 얼굴과 가슴을 10초 이내로 관찰하여 호흡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이라면 즉시 심폐소생술을 준비합니다.
- 가슴압박 30회 시행 : 깍지를 낀 두 손의 손바닥으로 환자의 가슴 압박점을 찾아 30회 가슴압박을 실시합니다. 압박 깊이는 5cm, 압박 속도는 분당 100~120회로 실시합니다.
- 기도 개방 : 인공호흠을 위해, 환자의 머리를 젖히고, 턱을 들어 올려서 환자의 기도를 개방합니다.
- 인공호흡 2회 시행 : 환자의 코를 막은 다음 구조자의 입을 환자의 입에 댄 후 환자의 가슴이 올라올 정도로 1초 동안 숨을 불어넣습니다.
-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 :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흠을 119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합니다.
- 회복자세: 화자의 호흡이 회복되었으면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혀 기도가 막히는 것을 예방
- 가슴압박 위치 : 성인과 소아 심정지 환자에서 가슴압박의 위치는 가슴뼈의 아래쪽 1/2
국민재난안전포털 바로가기
국민재난안전포털로 바로 갈 수 있는 링크를 아래의 이미지에 넣어 놓겠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과 이미지 자료 및 영상자료를 확인하시고 싶으신 분들은 국민재난안전포털에 접속하여 확인하세요
반응형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운전 통합민원 누리집 바로가기 (0) | 2022.12.19 |
---|---|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의 수산질병관리사 국가자격시험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22.12.15 |
추정가격, 추정금액, 공사예정금액, 예비가격기초금액, 예정가격의 차이점 (0) | 2022.12.13 |
지역제한 입찰에서 입찰참가자격 판단기준인 주된 영업소의 소재지(주소) (0) | 2022.12.12 |
개명 허가 신청 법원과 절차 및 방법 알아보기 (0) | 2022.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