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추정가격, 추정금액, 공사예정금액, 예비가격기초금액, 예정가격의 차이점

by skdi 2022. 12. 13.

나라장터 및 공공기관의 입찰정보 사이트에 들어가면 제목의 추정 가격, 추정금액, 공사 예정금액, 예비 가격 기초금액, 예정 가격 등에 착오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나열한 이 용어들의 차이점을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출처는 서울 계약 마당 FAQ입니다.

 

반응형

서울 계약 마당 FAQ

공공기관의 누리집에는 FAQ 즉 자주 찾는 질문을 따로 모아서 하나의 메뉴에 넣어 놓습니다. 서울 계약 마당 누리집에는 상단 메뉴의 "공지사항" 메뉴의 하위에 FAQ 메뉴를 두었습니다. 서울 계약 마당의 FAQ 메뉴에 들어가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아래의 목록의 순서로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서울 계약 마당 누리집 접속
  2. 홈 화면에서 상단 메뉴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려 놈
  3. 전체 메뉴가 나타나면 "공지사항" 메뉴의 아래의 "FAQ" 메뉴 클릭 

추정 가격

지방계약법 제5조 규정에 의한 국제입찰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등으로 삼기 위하여 예정 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예산에 계상된 금액 등을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 금액으로서 관급자재 금액과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금액(지방계약법 시행령 제2조 제1항)

추정금액

추정 가격에 부가가치세와 관 금자재 금액을 합산한 금액(지방계약법 시행령 규칙 제2조)입니다.

공사 예정금액

추정 가격에 부가가치세와 도급자설 치관 금자재 금액을 합산한 금액 입찰참가자격에서 시공능력 공시액 초과 여부, PQ 및 적격심사 시 시공비율 산정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예비 가격 기초금액

발주청에서 조사한 당해공사의 공사금액(관급자재 금액 불포함, 부가세 포함) 복수 예비 가격(15개) 작성의 기초금액, 적격심사 시 시공경험 평가의 기준금액입니다.

예정 가격

입찰 또는 계약 체결 전에 낙찰자 및 계약금액 결정의 기준으로 삼기 위하여 미리 작성하여 비치해 두는 가액(지방계약법 시행령 제8조)입니다.

서울특별시_서울계약마당_공지사항_FAQ
출처 : 서울특별시 서울계약마당

 

조달 용어사전

 

조달청 누리집 조달용어사전에서 나라장터 용어 확인하기

나라장터에 생소한 단어들이 너무 많습니다. 조달청 누리집에서 나라장터 및 조달업무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조달 용어사전 있습니다. 예정 가격, 추정 가격, 수요기관, 외자, 비축 등이 어

u2sh.tistory.com

 

국가법령정보센터

 

법대생들의 법전 같은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바로가기

우리나라 법대생들의 대법전 같은 법제처의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는 법령, 자치법규, 행정규칙(훈령·예규·고시), 판례·해석례 등, 별표·서식, 공공기관 규정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u2sh.tistory.com

 

반응형

댓글